본문 바로가기

전 세계 주택시장 통계 총정리

경제, 금융/경제 by 인포시커 2024. 6. 23.

목차

    전 세계 주택시장 통계 총정리

    전 세계 주택시장 통계 총정리

     주요 국가들은 주택가격, 거래량, 착공 및 허가 등 다양한 주택 관련 통계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주택가격과 거래량은 가계 등 민간의 경제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주택가격은 자산효과 (wealth effect)를 통해 민간의 소비심리와 대출에 영향을 미치고 주택거래는 가구, 가전제품 등 다양한 상품에 대한 수요를 이끌어 내므로 경기 활성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주요국들은 주택 관련 통계를 주기적으로 작성 및 발표하고 있으며, 해당 지표는 경기를 판단할 수 있는 주요 지표인 만큼 만은 경제주체들이 관심을 가지고 살피는 지수입니다.

     

    물가상승의 숨겨진 신호, 국제원자재가격 지수

    SOFR와 FFR, 꼭 알아야 할 단기금리지표

    주식 투자자라면 알아야 할 핵심 지표, 글로벌 주가지수와 변동성 지수

    위험한 채권의 숨겨진 이자율 차이 리스크 프리미엄

    전 세계 주택시장 통계 총정리

     

    주요국 주택 관련 통계

    미국의 주택통계

     미국은 기존주택 판매 건수 및 가격, 신규주택 판매 건수 및 가격,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FHFA 주택가격지수, 주택담보 대출 신청지수 등을 산출하여 발표하고 있습니다.

     

    기존주택 판매 건수 및 가격

     기존주택 판매 건수 및 가격은 미국 부동산중개인연합회(NAR)에서 작성하며, 매월 20일을 전후하여 판매 건수는 총합을, 가격은 평균(mean) 및 중앙값(median)을 발표합니다.

     

    신규주택의 판매 건수와 가격

     신규주택의 판매 건수와 가격은 미국 상무부 통계국이 매월 25일을 전후하여 발표합니다. 신규주택거래의 경우 약 75%가 미건축 상태이거나 건축 중인 주택에 대한 계약이기 때문에 향후 건설될 주택규모를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케이스-실러 주택가격지수

     케이스-실러(Case-Shiller) 주택가격지수(2000=100)는 신용평가업체인 Standard & Poor's(S&P)에서 발표하는 통계로서 칼 케이스와 로버트 실러가 고안하였으며, 매월 도시별 및 전국 지수가 발표되고 있습니다.

     

    FHFA 주택가격지수

     FHFA 주택가격지수(1991=100)는 연방주택금융청(Federal Housing Finance Agency)에서 발표하는 통계로 주별, 도시별 주택가격의 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FHFA의 전신인 연방주택기업감독청(Office of Federal Housing Enterprise Oversight) 1991 1분기부터 발표하기 시작하였으며, 연방저당권협회(Fannie Mae)와 연방주택금융저당회사(Freddie Mac)가 금융기관으로부터 사들인 주택담보대출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됩니다.

     

    주택담보대출 신청지수

     주택담보대출 신청지수(Mortgage Application Index, 1990=100)는 미국 모기지은행협회(MBA: Mortgage Bankers Association)에서 매주 발표하며, 이 협회는 주택담보대출 신청 건수와 함께 주택금융시장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럽의 주택통계

     유럽에서는 유럽통계청(Eurostat)이 건설업 생산, 건축허가, 주택가격 등을 작성하는 데, 개별 국가의 통계를 계절조정 및 가중평균하여 유로지역 통계를 산출합니다. 유럽통계청은 통계작성의 일관성을 위해 건설업 생산과 건축허가는 단기통계 작성 지침(Short-Term Statistics Regulation), 주택가격은 주택가격지수 작성 지침(Handbook on Residential Property Prices Indices)에 의거하여 통계 범위 및 조사 기간 등을 정하고 있고, 유로지역의 각 국가는 이 통계 작성을 위해 행정자료를 이용하거나 서베이를 실시하여 작성하고 있습니다.

     

    건설업 생산

     건설업 생산(Production in Construction, 2015=100)은 건설업 생산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며 매월 2∼3개월의 시차를 두고 발표됩니다.

     

    건축허가

     건축허가(Building Permits, 2015=100)는 월별로 건축 승인 주택 수 또는 면적을 발표하는 지표로서 주택경기의 선행지표로 사용됩니다.

     

    주택가격

     주택가격(House Price, 2015=100)은 분기별로 발표되며, 주택시장의 동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일본의 주택통계

     일본은 신설주택착공호수, 부동산가격지수, 부동산 거래 건수 및 면적, JREI 주택가격지 수, 토지가격지수 등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신설주택착공호수

     신설주택착공호수는 해당 월에 착공된 주택호수를 구조, 건축 방법, 이용 관계, 자금 등으로 분류하여 일본 국토교통성에서 매월 말 발표합니다.

     

    부동산가격지수

     부동산가격지수(2010=100)는 연간 약 30만 건의 부동산 거래 가격정보를 바탕으로 IMF 등의 국제지침에 따라 전국 부동산가격의 동향을 지수화하여 국토교통성에서 매월 발표합니다. 또한 부동산 거래 건수 및 면적도 소유권 이전등기정보를 바탕으로 부동산의 월별 거래 건수와 거래면적을 나타내며 부동산가격지수와 함께 공표됩니다.

     

    JREI 주택가격지수

     JREI 주택가격지수(2000=100)는 수도권지역 거래가격자료를 바탕으로 기존 맨션(우리나라의 아파트) 가격을 지수화하여 일본부동산연구소(JREI)가 매월 발표합니다.

     

    토지가격지수

     토지가격지수는 6대 도시(도쿄, 요코하마, 나고야, 교토, 오사카, 고베)의 토지 시가를 일본부동산연구소가 서베이를 통해 반기마다 작성 및 발표한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주택통계

     중국은 중국 국가통계국이 부동산 경기지수, 신규주택가격지수, 주택면적 및 부동산 개발 투자 등 주택통계를 작성하여 발표합니다.

     

    부동산 경기지수

     부동산 경기지수(China Real Estate Climate Index, 2012=100)는 부동산 업황을 대표하는 지수로 매월 발표되며, 100을 상회하면 부동산 경기 호전, 하회하면 부동산 경기 둔화를 의미합니다.

     

    신규주택가격지수

     신규주택가격지수(Property Price Index, New Constructed: Commodity Residential, 2015=100)는 중국 70대 주요 도시 주택가격 자료를 바탕으로 지수화하여 매월 공표되며, 지역 주택당국 및 중개업체 또는 현지 조사를 통해 가격 정보를 입수하여 작성됩니다.

     

    주택면적 및 부동산 개발투자 통계

     주택면적(residential floor space) 및 부동산 개발투자(Real Estate Investment) 통계도 매월 공표되는데, 주택면적은 신규 착공(started), 공사 중(under construction), 완공 (completed), 판매면적(sold) 등으로 구분합니다.

     

    마무리

     주택가격은 민간의 소비심리와 대출에 영향을 미치고 주택거래는 가구, 가전제품 등 다양한 상품에 대한 수요를 이끌어 냅니다. 그리고 이 영향으로 경기가 활성화되고 많은 경제주체들이 활발히 경제활동을 하게 됩니다. 건설이나 주택은 이로 파생하는 산업이 많으므로 경기의 순환주기를 파악할 때 매우 유용한 지표로 사용되므로 각 주요 국들이 작성 및 발표하는 지표들을 꼭 숙지하시고 투자에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관련포스팅

    물가상승의 숨겨진 신호, 국제원자재가격 지수

    SOFR와 FFR, 꼭 알아야 할 단기금리지표

    주식 투자자라면 알아야 할 핵심 지표, 글로벌 주가지수와 변동성 지수

    위험한 채권의 숨겨진 이자율 차이 리스크 프리미엄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