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청년도약계좌 완벽 가이드 : 혜택, 가입조건, 은행별 금리 비교까지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

경제, 금융/금융 by 인포시커 2024. 6. 25.

목차

    청년도약계좌 완벽 가이드 : 혜택, 가입조건, 은행별 금리 비교까지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

    청년도약계좌 완벽 가이드 : 혜택, 가입조건, 은행별 금리 비교까지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

     정부의 청년지원 금융정책 중 가장 많은 혜택을 주고 있는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에 대해 포스팅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말 그대로 청년들이 도약할 수 있도록 시드머니 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정책입니다. 우대금리에 정부기여금뿐 아니라 이자·배당소득 비과세 혜택까지 주는 청년도약계좌를 가입조건만 된다면 하지 않을 이유가 전혀 없으니 반드시 숙지하시고 우대정책의 수혜를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청년 지원정책 금융상품

     앞선 포스팅에서 소개한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의 특징을 간단히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대상                                 19~34(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 인정)
    기입
    요건
    총급여 5,000만원 혹은
    종합소득 3,800만원 이하
    총급여액 7,500만원 혹은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와 가구소득 중위 250% 이하 총급여액 3,600만원 혹은 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
    납입
    한도
    연 600만원 월 70만원 (연 840만원) 월 50만원 (연 600만원)
    만기 3년 3년 이상 가입 유지 시 비과세 적용 & 정부기여금 매칭비율의 60% 수준 지급 2년
    혜택 소득공제 (납입액 40%) 비과세, 정부기여금 비과세, 정부지원금

     

     청년 소득공제 장기펀드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년 필독!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로 최대 절세 혜택 받는 법 총정리!

    청년 필독!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로 최대 절세 혜택 받는 법 총정리! 미래의 주역인 청년들의 빠른 도약과 목돈마련을 위해서 정부는 다양한 금융 및 세제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각종

    lifeinfostorage.com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최대 60개월동안 매월 70만원 한도(연 840만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만기인 5년을 유지할 경우 이자·배당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뿐 아니라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을 지급합니다. 만기는 5년이지만 3년만 유지해도 이자·배당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과 정부기여금을 기간으로 매칭하여 60%정도 지급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연령기준

     가입대상은 19~34세 이하 청년으로 병역이행기간(최대 6)은 연령 계산시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개인소득기준

     개인소득기준 직전연도 총급여 액 7,500만원 또는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이며,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추가로 병역이행 청년 가입 지원도 추가되었습니다. 소득기준연도(전전년도 혹은 직전년도)에 군 복무 이력이 확인되는 청년도 가입신청 가능합니다. 군 복무 이력이란 병역법상 현역, 상근예비역, 의무경찰, 의무소방원, 사회복무요원, 군인사법상 사관생도, 사관후보생, 준사관후보생 및 부사관후보생입니다.

     

    가구소득기준

     가구소득기준 중위 250% 이하를 충족하는 가구의 청년인 경우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가구소득기준 중위 180% 이하였는데 소득기준이 250%로 완화되었습니다.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는 전전년도 소득으로 간주합니다. 가구원의 기준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가구소득기준 중위 250% 이하의 기준은 2024년 기준으로 아래와 같으며, 노란 음영 이하의 가구소득의 가구가 해당하며, 기준은 월 소득 기준입니다.

    가구원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중위소득 250% 5,571,113 9,206,523 11,786,643 14,324,783 16,739,338 19,045,923
    중위소득 180% 4,011,201 6,628,696 8,486,383 10,313,843 12,052,323 13,713,064

     

    ★ 1~7월 가입 시에는 전전연도 소득내역도 허용되기 때문에 총소득이 지원자격 수준에 근접한 상황이라면 빨리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위 조건을 모두 충족하더라도 직전 3개 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인 경우는 제외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시의 장점

     매달 70만원씩 납입하고 정부 지원금까지 받는다면 5년간 5천만원의 목돈을 모을 수 있는 만큼 미래를 준비하는 청년이라면 꼭 가입해 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 이미 청년희망적금에 가입했다면 만기 후 가입이 가능합니다.

     

     장점 ① 5년 만기 유지 시에 납입한 금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3년 유지시 매칭비율에 따라 정부기여금을 지원해 주며, 상세 지급금액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개인소득 기준 지급한도 매칭비율 한도
    총급여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40만원 6.00% 24,000원
    총급여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50만원 4.60% 23,000원
    총급여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60만원 3.70% 22,200원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70만원 3.00% 21,000원
    총급여 7,500만원 이하 - - -

     

     장점 ② 본인납입금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와 이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주며, 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수준의 우대금리를 제공합니다.

     

     청년도약계좌 특별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였다가 아래에 해당하는 사유 발생으로 인한 중도해지시 이자·배당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과 정부기여금을 그대로 지급합니다. 특별중도해지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생애최초 주택구입
    • 가입자의 퇴직
    • 사업장 폐업
    • 가입자의 사망 혹은 해외이주
    • 천재지변
    •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 혼인 침 출산의 사유<- 새롭게 추가된 특별중도해지

     

    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심사 절차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신청과 승인은 매월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공지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및 심사 절차

     

    서민금융진흥원 | 청년도약계좌 상품 안내

    청년도약계좌 알아보기 1397 > 바로연결번호 3번 개인요건 및 가구원 최신화 ※ 본인 나이 및 주민등록표등본 기준의 가구원 정보에 이상이 없는 경우,별도로 최신화를 신청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ylaccount.kinfa.or.kr

     

    청년도약계좌 가입가능 은행

     NH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KB국민은행, iM뱅구(구 대구은행), BNK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BNK경남은행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비교

    은행 기본 금리(3 고정) 소득 우대금리
    NH농협은행 4.50 0.50
    신한은행 4.50 0.50
    우리은행 4.50 0.50
    하나은행 4.50 0.50
    IBK기업은행 4.50 0.50
    KB국민은행 4.50 0.50
    iM뱅크( 대구은행) 4.00 0.50
    BNK부산은행 4.00 0.50
    광주은행 3.80 0.50
    전북은행 3.80 0.50
    BNK경남은행 4.00 0.50

    *기본금리는 3년간 고정되며(이후 변동금리 적용), 가입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을 주기로 심사한 개인소득금액의 소득요건 충족 횟수에 따라 우대금리 적용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세부항목 비교표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우대금리 비교표

     

     청년도약계좌의 취급 은행 별 최신 금리와 우대금리의 상세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청년도약계좌 소득요건 충족 횟수 별 우대금리

    소득요건 충족횟수 5 4 3 2 1 0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 미지급
    전체 지급 X 80% 지급 X 60% 지급 X 40%지급 X 20%지급

     

    청년도약계좌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해지이율

    은행 중도해지이율*
    농협·신한·우리·하나·기업·국민 4.5%
    iM뱅크(구 대구)·부산·경남 4.0%
    광주·전북 3.8%

     

    청년도약계좌 가입 유의사항

    • 전 은행을 통틀어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합니다.
    • 기존의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가입 불가능합니다. 단, 만기가 도래 했을 시에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으로 전환납입 가능합니다.
    • 가입일 현재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가 확정되지 않아 전전 과세기간까지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여부가 확인된 경우, 직전 과세기간의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로 확인되는 시점부터 납입 중지됩니다.
    • 「공공재정 부정청구 금지 및 부정이익 환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부정이익으로 확인되는 경우 환수 등의 제재가 가능하니 부정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가입요건을 꼼꼼히 살펴야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청년희망적금을 만기까지 유지한 동시에 청년도약계좌 가입요건을 충족한다면, 청년도약계좌에 원활하게 연계 가입할 수 있도록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을 청년도약계좌 가입시점에 일시에 납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의 청년희망적금을 가입 유지하고 있는 경우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이 불가능했던 것을 청년도약계좌로 바로 연계를 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주요내용

    • 일시납입 금액은 최소 200만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으로 받은 금액까지 납입가능합니다.
    • 가입자가 선택하는 ‘월 설정금액’으로 매월 전환납입 된다고 간주합니다.
    • 월 설정금액은 40만원, 50만원, 60만원, 70만원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 청년도약계좌 개설 이후에는 변경이 불가합니다.
    • 일시납입금액은 월 설정금액의 배수로 설정해야 합니다.
      - 40만원 : 200만원, 240만원, … , 1,240만원, 1,280만원
      - 50만원 : 200만원, 250만원, … , 1,250만원, 1,300만원
      - 60만원 : 240만원, 300만원, … , 1,200만원, 1,260만원
      - 70만원 : 210만원, 280만원, … , 1,190만원, 1,260만원
    • 일시납입금액에 대한 정부기여금도 일시에 지급하며, 정부기여금 규모는 ① 월 설정금액, ② 가입기준 개인소득에 따른 매칭비율 및 ③ 일시납입금이 전환납입된다고 간주되는 개월 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시납입금액 ÷ 월 설정금액 = 일시납입금 전환기간
      일시납입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달 10영업일 이내 지급
    • 일시납입금 전환기간 동안은 유지심사 결과와 무관하게 매칭비율 지속 유지
    • 신규납입은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이 종료된 이후부터 가능하며, 60개월(5년)에서 일시납입금 전환기간을 뺀 기간동안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 예시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 1,311만원(원금+이자+저축장려금) 수령 예정이며, 청년도약계좌 일시납입을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의 최대 금액으로 할 경우

     

    (Case 1) 연소득 2,400만원 이하에 해당하여 인정되는 기여금 산정 월 지급한도가 40만원이기 때문에 월 설정금액을 40만원으로 설정함 (월 설정금액) 40만원 X (전환기간) 32개월 = 1,280만원 일시납입, 32개월 납입으로 간주

     

    (Case 2) 최종 납입원금에 따른 은행 이자를 최대로 받고자 하여, 월 설정금액을 월 최대 납입한도 70만원으로 설정함(월 설정금액) 70만원 X (전환기간) 18개월 = 1,260만원 일시납입, 18개월 납입으로 간주

     

     이상으로 청년지원 금융정책 중 청년도약계좌의 모든 것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