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역지수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산출예시

경제, 금융/경제 by 인포시커 2024. 6. 19.

목차

    무역지수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산출예시

    무역지수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산출예시

     우리나라는 경제 규모에 비해 수출입 비중이 높은 국가입니다. 그러므로 국가 간 무역구조와 수출입금액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무역지수와 교역조건지수는 곧 한국 경제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통계이기 때문에 한국의 경제분석에 있어서 필수적인 통계입니다.

     

    무역지수의 개념과 종류 그리고 산출예시

    교역조건지수, 순상품교역조건지수, 소득교역조건지수의 개념과 활용

     

    무역지수의 개념

     일반적으로 매출금액이 변동하는 것은 가격이 변하거나 물량이 변하거나 또는 가격과 물량이 동시에 변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수출입금액의 변동요인 역시 가격요인과 물량요인으로 나누어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작성되는 지표가 바로 무역지수입니다. 한국은행은 2012년까지 수출입 단가지수를 이용해 수출입물량지수를 산출했지만, 2013 2월부터는 단가지수 대신 수출입물가지수를 이용해 무역지수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단가지수

    • 수출입금액을 중량으로 나누어 산출
    • 품질이 좋은 고급 제품의 판매 증가와 같은 제품구성 변화가 평균가격 변동에 반영되어 디플레이터로서 부적절
    • IMF에서도 예산 및 여건이 된다면 단가지수보다 물가지수를 이용하도록 권고

     

    무역지수의 종류

     무역지수에는 수출입금액지수, 수출입물가지수, 수출입물량지수가 있습니다. 관세청 통관자료에서 주문생산, 다품종 소량 생산 등으로 지속적인 가격조사가 어려운 선박, 무기류, 항공기, 예술품 등의 품목을 제외한 모든 상품의 수출입거래를 대상으로 작성되고 있습니다. 관세청 통관자료는 달러화 기준으로 작성된 통계이기 때문에 수출입금액지수, 수출입물가지수도 달러 기준 물가지수입니다.

     

    수출입금액지수

     수출입금액지수는 수출입 품목의 비교 시점 수출입금액을 기준 시점의 수출입금액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산출합니다.

    수출입 금액지수(연간) 산출식

     

    수출입물량지수

     수출입물량지수는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산출합니다.

    수출입 물량지수(연간) 산출식

     

     그런데 수출입물가지수는 계약 시점의 가격으로 작성되어 통관 시점의 가격과 차이가 있기 때문에, 수출입 계약과 통관 간의 시차를 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승용차 수출의 경우 계약부터 실제 통관까지 평균 2개월이 소요된다고 가정하면, 무역지수를 작성할 때는 2개월 의 통관시차를 반영한 ‘시차적용 수출입물가지수’를 적용하는 것입니다.

     

    무역지수 산출예시

     실제 무역지수가 산출되는 간단한 예시를 보겠습니다. 아래 표는 과일만 수출하는 국가의 수출금액과 수출물가지수입니다.

    무역지수 산출 예시

     

     2022년 과일의 무역지수를 산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2022년 과일의 수출금액지수는 150.00[=(90,000÷60,000)×100]입니다. 2015년 수출금액(60,000U$)을 100으로 설정하여 2022년 수출금액(90,000U$)을 지수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2. 표의 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과일의 수출물가지수는 2022년의 가격이 2015년에 비해 10% 상승하여 110.00이 되었습니다.
    3. 2022년 과일 수출물량지수는 2022년 과일 수출금액지수를 과일 수출물가지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한 136.36[=(150.00/110.00)×100]이 되는 것입니다.
    4. 이 수치의 의미는 2022년 과일 수출물량이 기준연도인 2015년에 비해 36.4%[=(136.36 100.00)/100×100] 늘어났음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종합해보면 2022년 중 과일 수출금액은 2015년 대비 50.0% 증가하였는데 이는 과일의 수출가격이 10.0% 상승하고, 수출물량이 36.4% 늘어난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결론

    •  수출입금액의 변동요인 역시 가격요인과 물량요인으로 나누어 파악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작성되는 지표가 바로 무역지수입니다.
    • 수출입금액지수는 수출입 품목의 비교 시점 수출입금액을 기준 시점의 수출입금액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산출합니다.
    • 수출입물량지수는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산출합니다.

     

    관련포스팅

    교역조건지수, 순상품교역조건지수, 소득교역조건지수의 개념과 활용


    TOP

    Designed by 티스토리